X

아이폰17 통화 품질 논란…원인은?[모닝폰]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윤정훈 기자I 2025.09.25 07:19:47

아이폰17, 출시 직후 통화 품질 불안정 논란
美이용자 “수신 문제 경험”…소프트웨어 결함 가능성 제기
애플, 대형 안테나로 수신율 개선 강조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리셋, 교환 안내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애플의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 아이폰17이 출시 직후부터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통화 품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7 시리즈 공식 출시일인 19일 서울 중구 애플 명동점에서 한 시민이 역대 가장 얇은 모델인 아이폰 에어(왼쪽)와 아이폰17 PRO를 들어 얇기를 비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5일 미국 IT 전문 매체 폰아레나가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약 50%가량이 아이폰17에서 셀룰러(통신) 문제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반면 나머지 절반은 “오히려 아이폰16보다 수신 감도가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동일한 모델을 쓰면서도 체감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단순한 통신사나 지역 문제라기보다 기기 자체 혹은 소프트웨어적 결함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 사용자들 사이에서 “아이폰17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신호가 끊기거나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잇따르는 상황으로 알려졌다.일각에서는 과거 아이폰4 ‘안테나게이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절반 가까운 사용자 “문제 겪었다”

실제 이번 현상은 T모바일, AT&T, 버라이즌 등 미국 주요 이통사뿐 아니라 MVNO(알뜰폰) 사용자들에게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드웨어 설계상 문제라면 특정 통신사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주로 발생해야 하는데, 이번 경우는 지역과 통신사에 무관하게 보고되고 있어 소프트웨어 버그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애플 “‘대형 안테나’ 장착...수신율 개선”

아이폰17 프로 시리즈는 기존 대비 더 큰 안테나 면적을 확보하며 “수신율을 개선했다”는 점을 애플이 강조했던 모델이다. 하지만 정작 시장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면서 이용자 혼란이 커지고 있다.

애플이 애초 설계 단계에서 안테나 성능을 과신했거나, 새로운 알루미늄 섀시와의 결합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간섭 현상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부 사용자 사례에서는 iOS 26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 문제가 해결됐다는 후기도 나오고 있어, 소프트웨어 최적화 부족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애플 고객센터 역시 해당 문제를 인정하고,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리셋, 교환 절차를 안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폰17은 카메라 성능, 알루미늄 기반의 새로운 디자인, 안티글레어(반사 방지) 코팅 등 다양한 개선점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정작 전화와 문자 같은 기본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백만 원을 주고 ‘고급 카메라’를 산 셈이라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번 모델은 내구성 측면에서도 지적이 있다. 알루미늄 섀시가 예상보다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