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지금까지 어려운 협상을 끌어온 경험으로 유추하자면 크게 비관적이지는 않다”며 “맨 처음이 어려웠고 이후에는 잘 끌고 오다가 다시 난관에 부딪힌 국면인데, 다시 제 궤도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점이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안보 협상과 관련해서는 “국방비 증액부터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역량 확보를 위한 원자력 협정까지 하나의 완결성을 이루고 있다”며 “일단 (양국이) 균형 상태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시한 ‘END(엔드) 이니셔티브(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와 관련해 “세 가지를 동시에 추동해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자는 방향성”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일각에서는 ‘세 가지를 별도로 추진하는 것 아니냐’, ‘비핵화는 안 하겠다는 것이냐’는 비판도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이 국어·영어·수학을 공부하겠다고 했더니 ‘너 수학 공부 안 하려는 거구나’라고 묻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이어 “세 요소가 우선순위 없이 서로를 추동하는 방식으로 병행 추진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을 “현실적으로 실재하는 두 국가”라고 언급한 것과 차별화된 견해를 드러낸 셈이다. 다만 위 실장은 정권 내 인사들의 의견 차가 ‘동맹파’와 ‘자주파’의 갈등으로 묘사되는 것에 대해서는 “제가 무슨 파로 분류돼 있는데, 저는 협상 국면에서 어느 포인트를 찌르고 들어가느냐, 무엇이 최적의 국익이냐만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최근 ‘동결’ 대신 ‘중단’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의지가 약하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오히려 반대”라며 “동결보다 중단이 더 강한 개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동결’이라는 단어는 동결시킨 뒤 그냥 놔두자는 선입견을 줄 수 있어 미국과 일본이 선호하지 않는다”며 “반면 ‘중단’은 비핵화의 출발점이다. 멈추게 하고, 되돌리고, 폐기까지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이 최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를 방문해 “북한이 체제 유지에 필요한 핵무기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는 “북핵에 대한 위기의식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북핵을 인정한다는 취지가 아니라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