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조는 특히 최근 논의가 ‘투명성 없는 흥정’으로 흐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라임·옵티머스 사태가 규제 완화와 감독 실패로 금융 참사로 이어졌듯, 관세 협상도 압박 수용과 자본 특혜, 금융 불안으로 악순환할 수 있다”며 “대규모 외화 유출과 불안정성을 무릅쓴 합의는 책임 회피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를 향해서는 정치적 성과보다 실질적 금융 안정성을 우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융노조는 “협상은 누가 정치적 이익을 챙기느냐가 아니라 금융위기를 막고 국민 삶을 지키는 것이 본질”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약속한 금융안정과 공정경제 기조를 끝까지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조는 “정부는 외환·금융 불안을 키우는 굴욕적 합의가 아닌 원칙과 실효성에 기반한 대응을 선택해야 한다”며 “국민과 노동자의 편에 서서 당당히 협상을 이끌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