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은 조사의 명분으로 국가 안보 논리를 주장,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조사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고 짚었다. 제232조는 행정부가 국가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조항을 이용해 철강, 알루미늄, 구리,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에 대한 관세를 부과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이 조항을 근거로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대규모 관세를 부과했다. 올해 백악관 복귀 후 다시 두 금속에 50% 관세를 부과했다. 그는 또 구리, 자동차, 자동차 부품에도 동일한 접근 방식을 적용해왔다.
미 상무부는 현재 다수의 조사를 진행 중이다. 목재와 원목, 반도체, 핵심 광물, 상업용 항공기 및 엔진, 무인 항공기, 폴리실리콘, 풍력 터빈 등 다양한 품목이 미국 안보를 위협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미 연방 대법원이 트럼프 행정부가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근거인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 적용을 무효화 할 경우 무역확장법 제232조 조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IEEPA는 전통적으로 제재 목적으로만 활용돼왔으나, 제232조 오랫동안 합법적인 국가 안보 기반 무역 권한으로 인정받아 왔다.
한편 미 연방정부는 셧다운 위기에 처해있다.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회동은 합의 없이 끝났다. 트럼프 대통령과 존 튠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등은 회계연도 종료(9월 30일)를 하루 앞두고 만났지만, 최대 쟁점인 공공 의료보험 ‘오바마케어’(ACA) 보조금 지급 연장을 두고 이견만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