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10월 1일부터 미국 내 제약공장을 짓고 있거나 착공중이지 않는 한 의약품에 100% 품목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관세 피해기업들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13조 6000억원의 긴급 경영자금과 역대 최대 270조원의 무역보험을 공급하고, 물류비 지원 2배 확대(3000만원→6000만원) 등 수출바우처 지원과 해외 전시회‧사절단 지원 대상 확대 등 대체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해외 진출 거점 구축 및 컨설팅 지원, 글로벌 마케팅 비용, 운송비 등 수출부대비용 지원,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확대 등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수출 특화 지원 예산을 내년도 정부안에 349억원으로 대폭 확대 반영해 미 관세 부과 등 어려운 대외 여건을 겪고 있는 수출 업계를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범부처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피해 지원체계 활용해 관세로 인한 피해사례 파악 후, 필요한 지원이 가능한 기관으로 기업을 연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의 품목관세 부과시 기업 부담 증가, 수출 경쟁력 약화 등을 우려하며 미국 시장 진출 지원 확대 및 수출국 다변화 전략 지원 등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미 정부의 관세부과확정시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적극 반영하겠다”면서 “대외적인 위기속에서도 의약품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관세 대응에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