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교수는 “수도권에 집중된 정보통신 산업은 젊은 사람들에게 의존하는 대표적인 산업인데, 청년 노동력이 빠르게 줄면서 인력 부족을 크게 겪을 것”이라며 “산업화가 시작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경남·울산·대구·경북에서는 청년 인력이 새로 진입하지 않고 기존 인력은 고령화되면서 제조인력이 큰 폭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인구 고령화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노동 인력에 대한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므로, 부산·대구·강원·광주에서 인력 부족이 특히 심하고 전국적으로도 인력 부족이 이슈가 될 것”이라며 “건강과 안전에 대한 투자를 늘려 수요 증가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 교수에 따르면 전국적인 인구 감소 흐름 속에서도 수도권과 충남 일부 지역에서는 2042년까지 계속해서 인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인구불균형 심화가 두드러졌다. 그러면서 그는 각 시·도에서는 청년 인구 유출을 완화해야 하고, ‘가성비’ 정책으로 장년 인구 유입 강화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외국 인력 유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청년의 인구이동률이 0이 되면 경제활동 인구 불균형이 낮아지지만, 단순히 장년·여성·청년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는 것은 인구 이동 때문에 불균형을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오히려 외국인 인력 100만명 추가가 시·군·구 유동인구의 불균형을 상당수 완화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지방자치단체의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가 될 때 재정자립도가 낮아진다”며 “아직까지 재정자립도가 10% 미만인 지자체가 거의 없지만 앞으로는 빠르게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중앙 정부의 개입과 지자체 통합 등 여러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