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자사주 소각 의무화 앞두고 처분 '러시'…9월에 2배 늘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권오석 기자I 2025.09.30 18:03:16

'자사주 소각 의무화' 본격화 앞두고 자사주 처분 행렬
9월 62개 상장사 처분…전월 대비 2배 가까이 급증
교환사채, 임직원 교부, 우리사주 출연 등 행태 각양각색
KCC, 당초 교환사채 발행 계획 밝혔다 비판 받고 철회
증권가 "자사주, 주가 안정 및 성과연동 보상 위한 수단돼야"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자기주식(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3차 상법 개정안이 조만간 국회를 통과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상장사들이 일제히 자사주 처분에 나서고 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정부와 여당이 주주가치 제고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정책으로, 소각을 피하기 위한 자사주 처분 행렬은 관련 법 시행 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자사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한 상장사는 코스피 21곳·코스닥 41곳 총 62곳으로 집계됐다. 전월(8월)에 상장사 36곳(코스피 16곳·코스닥 20곳)이 처분에 나선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교환사채(EB) 발행을 비롯해 임직원 교부, 단순 처분, 우리사주 출연 등 처분 행태는 각양각색이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당초 처분 계획을 밝혔다가 철회한 상장사도 있다. KCC(002380)는 지난 24일 공시를 통해 교환사채(EB) 발행을 목적으로 자사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주주가치 제고와는 상반된 행태라는 지적을 받으며 이날 결국 철회 공시를 냈다. KCC는 보유 자사주 17.24% 가운데 3.9%만 소각하고 9.9%는 EB 발행, 3.4%는 사내근로복지기금에 출연하겠다고 했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유통 주식 수가 낮아져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는 주주환원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주주환원 정책을 발판삼아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는 게 현 정부의 목표다.

다만 자사주를 처분하면 소각하는 것과는 달리 기업에 현금이 유입되면서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자금 조달 수단 중 하나다. 우호적인 주주에게 매각하는 방식으로 자사주를 넘기면, 차후 적대적 인수합병(M&A) 시 경영권을 방어하는 데에도 유리해진다. 다만 주주환원과는 자연히 거리가 멀어진다. 소각 대신 처분을 선택하는 상장사들이 주주들의 비판을 받는 건 이 때문이다.

KCC 외에도 이전엔 태광산업(003240)이 자사주를 담보로 EB를 발행하기로 했다가 발행금지 가처분 소송 등을 당하며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에 내달 중 이사회를 개최해 EB 발행 여부 및 구체적 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올해 정기국회 안으로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골자로 한 3차 상법 개정안을 이른 시일 내에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임직원 보상 등 예외 사항을 전제로 자사주를 취득일 기준 1년 내 의무 소각(김남근 의원) △자사주를 취득하는 즉시 소각(김현정 의원) 등 내용의 상법 개정안들이 올라와 있다.

증권가에서도 자사주를 주주환원 및 주가 안정에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엄수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자기주식을 매입한 뒤 일정 기간 보유하고 있을 수는 있지만, 대주주의 사적인 목적을 위해 ‘쟁여놓는’ 행위는 박수를 받을 일이 아니다”며 “자사주가 경영권 분쟁을 위한 실탄 또는 자금 조달을 위한 담보로 여겨지기보다는, 주가 안정이나 성과 연동 보상을 위한 수단으로 자리를 잡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